

오픈마루
04778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길 31 906 호
(성수동1가, 서울숲M타워)
Tel : 02-469-5426 | Fax : 02-469-7247
Email : sales@opennaru.com
최근 IT 시스템의 개발과 운용에 있어서 “Microservice (마이크로 서비스)”라고 하는 아키텍쳐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.
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간단히 말하면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‘마이크로 서비스’라고 불리는 독립된 작은 컴포넌트로 구현한다는 방법입니다.
마이크로서비스는 ThoughtWorks사의 마틴 파울러와 제임스 루이스가 만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, 모놀리식 아키텍처와는 달리, 비즈니스 기능에 맞추어 여러 개의 작은 「마이크로 서비스」로 분할한 후 연결하여 큰 소프트웨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. 이를 통해 신속한 개발, 실행 및 잦은 업그레이드, 뛰어난 가용성 및 확장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.
정리하자면,
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( Microservices Architecture ) 는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모음으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한 유형입니다.
또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다이어그램과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개발, 배포, 유지관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.
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,
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(주로 마이크로서비스라고도 함)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을 의미합니다.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하면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담당 영역을 가진 소규모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내부 마이크로서비스를 호출하여 응답할 수 있습니다.
모놀리식 접근법이란?
지금까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대부분은 한 통으로 묶인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었습니다. 컴포넌트가 느슨하게 결합된 마이크로서비스 및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와는 대조적으로,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컴포넌트와 기능이 밀접하게 결합된다. 모놀리식 접근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.
마이크로서비스는 기존의 모놀리식 시스템보다 뛰어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.
가장 큰 차이는 애플리케이션의 크기입니다.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크기가 너무 커서 변경, 도입, 확장을 할 수 없습니다. 이 부분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